안녕하세요. 오늘은 두 아이를 키우면서 밤잠 재우기에 일등공신이었던 공갈젖꼭지, 일명 쪽쪽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공갈젖꼭지에 대한 의견은 사람마다 다르고,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지만 저는 적절하게 사용하면 좋은 육아템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공갈젖꼭지의 장단점과 사용 시 주의할 점, 그리고 쉽게 떼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공갈젖꼭지의 장점
- 아기들의 빠는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습니다. 아기들은 빠는 것으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고, 영아산통을 줄여주며,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빠는 힘이 약한 아이들은 빠는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2005년 미국 소아과학회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생후 1개월 이후부터 공갈젖꼭지를 적당히 사용하는 경우 영아돌연사증후군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 통증이나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예방접종 같은 상황에서 아기가 공갈젖꼭지를 물면 통증을 줄이고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비행기 이, 착륙 시 기압차로 힘들어하는 아기에게도 공갈젖꼭지를 주면 귀가 트이고 편안해집니다.
- 손가락 빠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빠는 것은 치아나 구강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고, 세균이 입속에 들어가는 경로를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공갈젖꼭지는 손가락보다 상대적으로 끊기 쉽고, 치아나 구강 발달에도 덜 해롭습니다.
공갈젖꼭지의 단점
- 공갈젖꼭지에 너무 의존하게 되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잃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프거나 화가 날 때도 공갈젖꼭지로 진정하려고 하면 엄마와의 소통이 어려워집니다.
- 장시간 사용하면 치아나 구강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살 이상까지 계속해서 사용하면 치아가 앞으로 튀어나오거나, 입술이 앞으로 돌출되거나, 상악과 하악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갈젖꼭지를 끊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이가 공갈젖꼭지에 너무 익숙해져서 없으면 울거나 잠을 못 자거나, 다른 습관으로 대체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 중이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공갈젖꼭지를 물고 있는 동안에는 입과 코 사이의 연결 통로인 유두관이 열려있게 됩니다. 이때, 유두관을 통해 입속의 세균이 귀로 올라가서 중이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공갈젖꼭지 사용 시 주의할 점
- 모유수유하는 경우에는 생후 4주 이후부터 사용합니다. 그 이전에 사용하면 유두 혼동을 일으켜 수유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장시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래 물리면 중이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잠들기 전이나 울 때만 잠깐 물리게 하고, 잠든 후에는 빼줍니다.
- 위생관리를 잘합니다. 끓는 물에 삶거나 소독기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관리해 줍니다. 또한 구멍이 생기거나 변형되면 바로 교체합니다.
- 아이의 성장에 맞는 사이즈를 사용합니다. 너무 작으면 삼킬 수 있고, 너무 크면 입을 벌리게 됩니다. 적절한 사이즈를 선택하고 6개월마다 교체합니다.
공갈젖꼭지 끊는 방법
- 공갈젖꼭지를 버립니다. 아이가 밤새 운다면 엄마는 마음이 약해져서 다시 줄 수밖에 없습니다. 엄마도 기댈 곳이 없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공갈젖꼭지를 끊고 싶다면 먼저 깔끔하게 버리시기 바랍니다.
- 아이가 보는 앞에서 버립니다. 어느 정도 말귀를 알아듣고 2살이 넘었는데도 못 떼는 아이에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엄마는 공갈젖꼭지가 망가져서 버려야 한다고 아이에게 말해줍니다. '여기에 구멍이 생겨서 망가졌네, 00 이가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쪽쪽이야 안녕~' 이렇게 아이에게 확실한 행동으로 이제 공갈젖꼭지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줍니다.
- 공갈젖꼭지를 바꿔 줍니다. 공갈젖꼭지를 끊기 전에 아이가 좋아하지 않는 다른 종류로 바꿔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의 공갈젖꼭지를 사용하던 아이에게 고무 소재의 공갈젖꼭지를 주면, 아이는 싫어하고 뱉어버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가 흥미를 잃고 자연스럽게 떼어낼 수 있습니다.
- 무반응하기입니다. 아이가 공갈젖꼭지를 달라고 울거나 잠투정을 해도 엄마는 그 순간을 잘 참아야만 끊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공갈젖꼭지 없이 잠들 수 있도록 스스로 진정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처음에는 힘들 수 있지만, 몇 번 반복하면 아이는 공갈젖꼭지 없이도 잠들 수 있게 됩니다.
공갈젖꼭지는 육아에 도움이 되는 아이템일 수도 있고, 해로운 습관일 수도 있습니다. 엄마는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맞춰서 적절하게 사용하고, 적당한 시기에 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저는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이용해서 두 아이들의 공갈젖꼭지 떼기에 성공했습니다. 공갈젖꼭지 끊기는 어렵지만, 아이와의 소통과 이해를 통해 가능합니다. 아이가 공갈젖꼭지를 뗐을 때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마십시오. 공갈젖꼭지 없이도 행복하고 건강한 육아를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 전 아기 낙상사고,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까? (0) | 2023.08.17 |
---|---|
손가락 빠는 습관, 부모의 역할과 대처법 (0) | 2023.08.16 |
(만3세)4살 아이와 함께 책읽기 육아 (0) | 2023.08.12 |
(만 3세)미운 4살 훈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3.08.11 |
24개월 이후 영상노출의 올바른 방법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