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돌아기 분리불안, 엄마와 함께 극복하는 방법은?

by 클레어. 2023. 8. 25.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돌아기 분리불안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아이가 돌이 되었을 때 분리불안 때문에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이가 엄마와 떨어지면 울고, 밤에 잠을 자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과도 잘 어울리지 못하고요.. 그런데 분리불안은 아이의 정상적인 발달 과정 중 하나라고 하네요.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아이의 분리불안을 줄여줄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엄마손 잡고있는 아기손
이미지 출처:Pixabay

분리불안이란 무엇일까요?

분리불안이란 아이가 엄마와 떨어질 때 공포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생후 6개월 무렵이면 아이는 엄마와 친밀한 애착 관계를 형성하면서 분리불안이 시작되며, 생후 9~15개월 경 가장 심하게 나타나고, 만 2세가 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 분리불안은 아이가 자신의 존재와 엄마의 존재를 구분하고, 엄마가 자신의 안전과 행복을 보장해주는 중요한 존재임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분리불안은 아이의 성장에 필수적인 단계로, 엄마도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분리불안의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분리불안의 증상은 아이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엄마와 떨어지면 심하게 울거나 붙잡으려고 하거나, 엄마를 찾아다니고, 엄마에게 달라붙는다.
  • 엄마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거나, 화를 내고, 고집을 부리거나, 신체적인 불편감을 표현한다.
  • 낯선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안기거나 맡기기를 거부하거나, 다른 사람과 놀다가도 갑자기 엄마를 찾는다.
  • 밤에 깊은 잠을 못 자거나, 악몽을 꾸고, 엄마와 같은 방에서 자고 싶어한다.

분리불안을 줄여주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아이의 분리불안을 줄여주기 위한 연습은 일정한 기간이나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의 개성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엄마와 떨어져 있어도 괜찮다는 것을 체험하고, 신뢰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연습을 할 때에는 아이의 반응을 잘 관찰하고, 너무 강요하거나 갑작스럽게 하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아이가 울거나 불안해하면 부드럽게 위로하고 안아주세요. 아이가 잘 해낼 때에는 칭찬하고 격려해주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는 점차 분리불안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 연습하기: 아이가 엄마와 잠시 떨어져 있어도 괜찮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연습을 해봅니다. 예를 들어, 엄마가 집안일을 할 때 아이를 다른 방에 두고, 가끔 들려주는 목소리나 얼굴로 아이에게 안심을 주세요. 또는, 엄마가 집을 잠시 나갈 때 아이에게 언제 돌아올지 알려주고, 정확한 시간에 돌아와서 아이를 안아줍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엄마가 떠나더라도 다시 돌아온다는 것을 신뢰하게 됩니다.
  • 안정감 주기: 아이가 엄마와 떨어질 때 불안해하지 않도록 안정감을 줍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인형, 담요 등을 함께 가져가게 하거나, 엄마의 향기가 나는 옷이나 머리띠 등을 주세요. 또는, 아이가 좋아하는 노래나 동요를 부르거나, 엄마의 목소리가 담긴 녹음파일을 들려주거나, 엄마의 사진이나 그림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엄마와 연결된다는 느낌을 받고,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칭찬하기: 아이가 엄마와 잘 떨어져 있거나,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거나, 밤에 잘 자거나 할 때 칭찬해줍니다. 예를 들어, "엄마가 잠깐 나갔는데도 울지 않고 잘 기다렸구나. 대단해!" 또는 "오늘은 할머니랑 잘 놀았구나. 즐거웠어?" 또는 "밤에 혼자 잘 잤구나. 꿈은 뭐 꿨어" 등으로 말해주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는 자신감과 자존감을 키울 수 있고, 분리불안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분리불안은 아이의 정상적인 발달 과정 중 하나로, 엄마와 떨어질 때 두려움과 불안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런 감정은 아이의 정상적인 성장 과정 중 하나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그래도 우리 엄마들은 힘들고 스트레스 받으니,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참고해서 아이의 분리불안을 줄여주시고, 함께 행복하게 성장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