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육아블로거 클레어입니다. 이번에는 저희 둘째가 8개월쯤 절정에 달했었던 구강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구강기란 아기가 무엇이든 입에 넣고 물고 빠는 행동을 하는 시기를 말하는데요, 이는 아기의 정상적인 성격 발달의 일환입니다. 하지만 구강기에 들어간 아이를 돌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죠. 그래서 오늘은 구강기의 특징과 원인, 그리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육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강기란 무엇일까요?
구강기는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에서 성본능이 나타나는 성격발달 제1단계인 생후 18개월까지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구강기 아이들은 무엇이든 입에 넣고 물고 빠는 특징을 보이고 아랫니가 나는 시기에는 살짝 깨무는 행위를 하기도 합니다. 엄마의 손가락을 잡고 바로 입에 가져가고, 손으로 잡은 모든 물건을 입에 가져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보호자가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구강기의 원인
- 입을 통한 세상 탐색: 아기는 입을 통해 세상을 탐색하고 배우는 중입니다. 입으로 물건을 넣고 씹으면서 색, 모양, 질감, 맛 등 다양한 감각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아기의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되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 잇몸의 간지러움과 고통: 아기는 생후 6개월쯤 되면 유치가 잇몸을 뚫고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이때 잇몸이 자극받아 간지럽고 아프게 되는데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손가락이나 딱딱한 물건들을 씹게 됩니다. 이를 이앓이라고 하며, 잇몸 마사지나 치발기 등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습니다.
- 불안감과 스트레스 해소: 아기는 환경이 바뀌거나 새로운 사람이 오면 낯가림으로 인해 불안한 마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본인이 원하는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면 아기는 손가락이나 물건을 씹고 빠는 것으로 해소를 합니다. 이때 한두 번은 괜찮지만 이와 같은 행위가 계속된다면 자칫 습관으로 번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구강기 아이를 돌보는 방법
구강기의 아이는 입에 넣은 물건들이 목에 걸리거나,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거나, 감염여부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구강기 아이를 돌보면서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의해야 합니다.
- 작고 날카로운 물건들은 반드시 치우기: 아이가 입에 넣을 수 있는 작고 날카로운 물건들은 반드시 치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 동전, 버튼, 핀, 캡슐, 장식품, 장난감 조각 등은 아이가 삼킬 수 있거나 목을 베일 수 있으므로 절대로 아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플라스틱 봉지나 비닐봉지 등은 아이가 입에 넣으면 숨이 막힐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잘못된 구강위생 습관을 방지하기: 아이가 입에 넣는 물건들은 가능한 한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장난감이나 치발기 등은 자주 세척하고 소독해주어야 하며, 아이가 입에 넣는 손가락이나 발가락도 깨끗하게 닦아주어야 합니다. 또한, 부모나 형제자매가 사용하는 칫솔이나 젖병, 숟가락 등은 아이와 공유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구강 내 감염을 예방하고, 잘못된 구강위생 습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 아이의 감정 표현을 존중하고 인정하기: 아이가 입으로 물건을 넣는 것은 본능적인 행동이지만, 때로는 감정 표현의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화가 나거나 슬퍼하거나 흥분하면 입으로 물건을 넣거나 씹거나 깨무는 것으로 감정을 풀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는 아이의 감정 표현을 존중하고 인정해주어야 합니다. "지금 화가 나서 그런 거지? 엄마도 알아. 그런데 이건 입에 넣으면 안 되는 거야. 다른 방법으로 화를 내보자."라고 말해주면 됩니다.
구강기는 아이의 정상적인 성격 발달의 일환으로, 부모의 지혜롭고 사랑스러운 육아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구강기가 완전히 끝나는 시기는 아이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유아기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다른 신체감각에 집중하며 입에 물건을 넣는 행위가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위험요소들을 늘 체크하시어 구강기 아이와 함께 즐겁고 안전한 육아를 하시길 바랍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살 아이 자기조절능력의 특징, 발달방법 및 저해요인 (3) | 2023.09.26 |
---|---|
이유식 거부 아기의 원인과 해결책 (0) | 2023.08.27 |
돌아기 분리불안, 엄마와 함께 극복하는 방법은? (0) | 2023.08.25 |
아기 고추 만지는 행동의 원인과 대처법, 그리고 예방법 (0) | 2023.08.20 |
9개월 아기 대근육과 소근육 발달 및 놀이 팁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