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저희 첫째가 겪었던 배앓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배앓이란 아기가 배에 가스가 차서 통증을 느끼고 우는 증상을 말하는데요, 저희 아기도 생후 1개월이 되자 갑자기 밤에 자다가 울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원더윅스인가 싶었는데, 다리를 배 쪽으로 당기면서 우는 모습을 보니 배앓이라고 판단되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과 육아서적으로 배앓이의 원인과 증상, 해결방법을 찾아보고 여러 가지를 시도해 보았었습니다. 그 결과 아이가 우는 강도와 횟수가 많이 줄어들어 그 방법들을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배앓이의 원인
배앓이의 정확한 요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소화기문제, 미성숙한 신경계, 과도한 자극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아이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 분유 공급: 생후 3주까지는 모유와 분유를 병행수유 하다가 1개월 때 완분으로 갈아탔습니다. 아무래도 분유가 소화가 더디다 보니 그 과정에서 가스가 찼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젖병에 분유를 딱 맞게 타서 끝까지 먹게 하니, 공기까지 삼키게 되었습니다.
- 변비: 분유를 먹으면서 변비가 심해졌습니다. 대변을 못 보니 배가 부어오르고 가스가 차게 되었습니다.
배앓이의 증상
- 격렬하고 지속적인 울음: 배앓이를 하는 아기는 보통 오후나 저녁에 오랫동안 울기 시작합니다. 울음이 몇 시간 동안 계속되며, 달래려고 해도 달래 지지 않고 한참을 울게 됩니다.
- 예측 가능한 패턴: 배앓이는 종종 매일 비슷한 시간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예측 가능성은 배앓이의 다른 원인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꽉 쥔 주먹과 경직된 몸: 배앓이가 있는 동안 아기는 주먹을 꽉 쥐고, 근육이 긴장되면서 얼굴이 붉어지는 것과 같은 신체적 불편 징후를 보입니다. 또한 다리를 배 쪽으로 당기거나 몸을 활처럼 휘는 모습을 보입니다.
- 수면 및 식사장애: 배앓이 아기는 수면 및 수유패턴에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기는 안정을 취하기 힘들거나, 잠드는 것과 수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배앓이의 해결방법
배앓이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해결되지만, 증상을 완화하고 아기와 가족 모두 조금이나마 편해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 배마사지: 배마사지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분유를 먹이고 2시간 정도 지난 후에 따뜻한 손으로 아기의 배를 시계방향으로 살살 쓸어주었습니다. 하다 보면 방귀가 나올 때가 있는데 아기의 표정도 좋아졌습니다.
- 트림과 배변: 트림은 수유 후에 아기에게 필수로 시켜줘야 합니다. 저는 분유를 먹이고 30분 정도 앉아서 트림을 시켜주었습니다. 그리고 아기의 변비 해결을 위하여 유산균을 아침 첫수에 먹였습니다.
- 젖병: 젖병을 물릴 때 공기가 많이 들어가지 않게 하려면 젖꼭지에 분유가 가득 찬 각도로 먹여야 합니다. 그리고 젖병에 분유를 아이가 먹는 용량보다 넉넉하게 타서 공기까지 삼키지 않게 해야 합니다. 배앓이에 좋은 젖병과 젖꼭지를 사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 편안한 환경: 배앓이를 예방하거나 진정시키려면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부드러운 흔들기, 아기슬링으로 엄마품에 폭 안기게 안기, 은은한 수면등, 백색 소음을 사용하여 항상 일정하고 부드러운 분위기의 환경을 만들어주었습니다. 그리고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면 배앓이에 도움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 전문가와 상담: 아기의 배앓이 증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아기의 건강이 염려되는 경우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앓이는 많은 영아들이 겪는 일반적인 것이지만, 부모로서는 정말 힘든 시간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아기가 우는 이유를 몰라 당황스러웠지만, 여러 곳에서 정보를 찾아보고 실제로 시도해 보니 빠른 시간 안에 배앓이가 잡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제가 공유한 방법들이 육아 중인 부모님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배앓이가 아니더라도 아기의 건강을 위해 항상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 전 아기의 언어발달과 언어자극 (0) | 2023.08.06 |
---|---|
분리수면의 시작시기와 방법 (0) | 2023.08.05 |
유아 수족구, 구내염 증상 및 예방법 (0) | 2023.08.03 |
돌 전 아기열 대처방법 (0) | 2023.08.02 |
[내돈내산]퓨어락 로열플러스 1단계,2단계 사용후기 (0) | 2023.08.01 |